해외 운송, 특히 항공이나 해상에서 위험물 취급은 절대 간과할 수 없는 이슈입니다.
IMDG는 국제 기준에 따라 위험물을 9가지 Class로 분류하며, 이를 숙지하지 못하면 물류 전반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.
이 글을 통해 위험물 분류 기준부터 각 종류별 특징까지 한번에 파악해보세요!
특히 운송이나 무역 관련 업무에 종사하신다면 반드시 읽어야 할 필수 가이드입니다.👇
IMDG 위험물 분류 기준: Class 1~9 요약
UN의 기준에 따라 위험물은 총 9가지 Class로 나누어집니다. 각 분류는 위험물의 성질에 따라 구분되며, 수출입, 항공/해상 운송 시 반드시 적용해야 합니다.
각 Class별 주요 특성과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Class | 분류 | 예시 |
---|---|---|
Class 1 | 화약류 | 불꽃놀이, 탄약, 군용 폭발물 |
Class 2 | 가스류 | LPG, 메탄가스, 산소, 독성가스 |
Class 3 | 인화성 액체 | 페인트, 알코올, 휘발유 |
Class 4 | 가연성 고체/자연발화성/물반응성 물질 | 성냥, 금속 분말 |
Class 5 | 산화성 물질/유기과산화물 | 과산화수소, 질산염 |
Class 6 | 독성 및 전염성 물질 | 살충제, 세균 표본 |
Class 7 | 방사성 물질 | 방사선 치료제, 원자력 발전소 연료 |
Class 8 | 부식성 물질 | 황산, 수산화나트륨 |
Class 9 | 기타 유해물질 | 드라이아이스, 자성체 |
위험물 분류가 중요한 이유
위험물은 성질에 따라 운송, 포장, 라벨링 기준이 다릅니다.
잘못된 분류는 화재, 폭발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, 법적 제재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IMDG 코드는 국제 항공운송협회(IATA), 국제해사기구(IMO) 등의 기준을 기반으로 운영되어 세계적으로 통용됩니다.
현장에서 자주 보는 위험물 예시
- 인화성 액체: 네일 리무버, 향수, 알코올 등
- 산화성 물질: 표백제, 산소캔
- 독성 물질: 농약, 공업용 세정제
- 가스류: 부탄가스, 헬륨, 아세틸렌
Q&A
Q1. 위험물은 모든 항공편에서 운송이 가능한가요?
아닙니다. 일부 위험물은 항공 운송이 금지되어 있으며, 운송 가능 여부는 Class와 포장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.
Q2. 일반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도 위험물에 해당하나요?
네. 향수, 손 소독제, 헤어스프레이 등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위험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.
Q3. 위험물 포장에는 어떤 기준이 적용되나요?
포장 등급(Packing Group)과 라벨링 규정에 따라 내충격성, 밀폐성 등 다양한 조건이 요구됩니다.
Q4. Class 9 물질은 왜 따로 분류되나요?
기타 유해물질은 명확한 인화성, 독성 등의 특성은 없지만 특정 조건에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별도 분류됩니다.
글을 마치며
국제 물류와 항공/해상 운송에 있어 ‘위험물 분류’는 단순 정보가 아니라 **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기준**입니다.
운송 담당자부터 수출입 실무자, 무역 종사자까지 반드시 숙지해야 할 내용이죠.
IMDG와 같은 공신력 있는 기관의 기준을 토대로 정확한 정보를 이해하고 적용하세요. 🛫📦
'포워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항공 수출 시 수출 면장 무게 오차 허용 범위, 어디까지 괜찮을까? (0) | 2025.04.25 |
---|---|
Demurrage vs Detention: What's the Difference? (0) | 2025.04.25 |
디머리지와 디텐션, 무엇이 다를까? (0) | 2025.04.25 |
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총정리 (0) | 2025.04.21 |
코로드(Co-load)란? 포워딩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물류 용어 완벽 해설 (0) | 2025.04.09 |